29일 교육부는 검정 합격한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 수정ㆍ보완에 대해 총 829건 중 788건을 승인하고 미비한 41건에 대해 수정명령을 각 발행사에 통보했다.
이 중 '우편향' 논란이 일었던 교학사가 금성출판사와 함께 가장 많은 8건 수정명령을 받았다. 천재교육이 7건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두산동아와 미래엔이 5건씩, 비상교육와 지학사는 4건씩 받았으며 리베르는 0건이었다.
나승일 교육부 차관은 "수정명령 사항을 반영한 발행사의 수정ㆍ보완 대조표가 접수되면 다시 수정심의회를 개최해 승인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가 '우편향' 됐다는 논란에 정치 쟁점으로까지 번지자, 교육부는 8종 전체에 대해 총 829건을 지난달 18일 지적한 바 있다.
출판사들은 이달 1일 교육부의 수정ㆍ보완 권고사항을 반영한 수정ㆍ보완 대조표를 제출했고, 교육부는 학계 전문가 15명이 참여한 '수정심의회'를 이달 14일 구성해 대조표를 심의했다.
이번 수정 명령의 대표적 사례는 △북한의 토지개혁에 대한 정확한 실상 설명(금성) △천안함 피격사건 주체 서술(두산동아) △6ㆍ25전쟁 당시 북한군과 국군의 양민학살사례 균형 서술 △남북 대립 및 통일 논의 중단 원인에 대한 올바른 서술(비상교육) △일본의 독도 침탈 과정에 대한 정확한 서술(지학사)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에 대한 구체적 서술(천재교육) △반민특위 해산 과정에 대한 정확한 서술(교학사) 등이다.
교육부는 수정명령 사항을 반영한 출판사들의 수정·보완 대조표를 내달 3일까지 제출받은 후 다시 수정심의회를 개최해 내달 6일께 승인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수정명령 사항을 출판사가 수용하지 않으면 발행정지 등 행정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또 수정승인이 된 교과서는 우선 전시본을 다음 달 초 웹사이트에 전시하고 18일쯤 인쇄본을 학교에 제공, 27일쯤 학교현장에서 교과서 선정을 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