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미국 정부가 자국의 민간 항공사에 비행 계획을 통보하라고 권유한 것에 대해서는 "승객 안전과 ADIZ 수용 여부는 별개 문제"라고 주장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분명하게 밝히고자 하는 점은 미국 정부는 중국이 새로 선언한 방공식별구역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고 그 요구의 적법성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의 조치는 동중국해의 현정세를 일방적으로 바꾸려는 '도발적 시도'로 해당 지역에서 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행위라고 경고했다.
젠 사키 국무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 정부의 입장은 전혀 바뀌지 않았다"고 미국 정부의 중국 방공식별구역 설정 불인정 방침을 재확인했다.
사키 대변인은 "중국은 주변국과의 사전 협의 없이 ADIZ를 선포했다. 게다가 새로 선포한 구역이 일본, 한국, 대만이 오래 유지해온 구역과 일부 겹치고 일본이 점유한 영토를 포함한다"며 "중국의 선언이 혼란을 초래하고 사고 위험을 높인다는 점에서 이를 철회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사키 대변인은 "중국의 ADIZ 선언에도 미군이 중국 측에 알리지 않고 해당 지역에서 군용기를 동원한 군사 훈련을 지속하고 있다는 사실 등이 미국 정부의 입장이 바뀌지 않았다는 명백한 증거이자 결정 사항"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