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시장조사업체인 아이서플라이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1기가비트(Gb) 기준으로 환산한 전 세계 모바일 D램 출하량은 지난 2분기 28억5620만개로 1분기(23억6690만개)보다 20.7% 늘었다. 이는 지난해 2분기(12억7590만개)와 비교하면 124% 급증한 수치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는 14억1100만개로 49.4%를 차지해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6억7500만개, 점유율 23.6%를 기록한 SK하이닉스가 차지했다. 양사의 점유율을 합치면 73%로 전 세계 모바일 D램의 4분의 3을 차지한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 합병된 일본 엘피다(6억2470만개·21.9%), 4위는 1억2190만개(4.3%)를 기록한 마이크론이었다.
PC용 D램을 포함한 전체 D램 시장에서 모바일 D램의 비중은 1분기 29%에서 31% 확대됐다.
업계에서는 모바일 D램 비중이 커질수록 삼성전자의 독주 체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전체 생산 D램 중 모바일 D램 비중은 1분기 42%에서 2분기 49%로 높아졌다.
특히 삼성전자는 지난 7월 세계 최초로 차세대 3GB(기가바이트) 용량 모바일 D램 양산을 시작하는 등 제품력 경쟁도 주도하고 있다. 3GB D램은 내년 상반기부터 제품에 본격 채용될 예정이다.
한편 아이서플라이는 올해 세계 모바일 D램 시장 규모가 99억6900만 달러로 지난해(70억700만 달러)보다 42% 이상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152억5200만 달러로 올해보다 53% 확대될 전망이다.
아이서플라이는 또 내년 3분기부터 모바일 D램이 PC용 D램을 추월해 전체 D램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