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만 캠코 사장 "내년 행복기금, 中企·대학생 지원에 매진할 것"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홍영만(사진)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이 내년 국민행복기금을 통해 총 38만5000명의 신용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홍 사장은 지난 11일 저녁 서울 서소문동의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행복기금이 출범한 올해는 금융소외계층 지원을 위한 양적 확대에 집중했다면, 내년에는 대학생 학자금과 민간배드뱅크 등의 연체채권 매입으로 행복기금의 사각지대 해소 등 질적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행복기금이 지금까지 80%를 지원했다면 (내년에는)95%까지 커버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용회복 지원 대상은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아 연체한 5만5000명, 민간배드뱅크(상록수SPC)의 장기연체자 33만명이다.

학자금 연체자 지원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한국장학재단 설립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돼야 가능하다. 캠코는 법이 통과되면 연체채권 매입과 채무감면 등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신청을 진행중이다. 9일 현재 1065명이 신청했다.

아울러 홍 사장은 "외환위기 당시 연대보증 중소기업인에 대한 지원을 위해 11월말까지 인수한 공공채권 중소기업인을 대상으로 신용회복 및 종합자활 프로그램을 통한 경제적 재기 지원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97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외환위기로 도산한 중소기업의 연대보증채무로 경제활동에 곤란을 겪고 있는 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지난 7월 1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총 4779명이 방문 및 상담을 받았고 총 2191명이 채무조정을 신청했다. 채무조정 신청은 올해 말까지다.

홍 사장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등으로부터 외환위기 당시 연대보증인 관련 공공채권 약 2조5000억원에 대해 인수계약 체결했다"면서 "현재 채무조정제도 안내에 주력하고 있으며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채무감면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금융 인프라 간 연계를 강화해 서비스의 질도 높인다는 계획도 밝혔다.

홍 사장은 " 신용회복지원을 채무자에게 직접 안내하는 신용정보회사(CA)들의 업무수행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편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업지원 등 실질적 자활 및 재기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캠코와 광역지자체,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 서민금융다모아콜센터 등에서 맞춤형 상담기능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홍 사장은 지난달 18일 캠코 사장에 취임했다. 행정고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해 금융위 자본시장국장, 금융서비스국장, 국가경쟁력 강화위원회 추진단장, 금융위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금융위 상임위원 등을 역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