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27일 2013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지상파 3사 계열의 광고매출 점유율이 2007년 75.7%에서 지난해 66.4%로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다.
평가결과 IPTV와 종합편성채널의 시장진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방송사업자 간의 경쟁이 활성화되고 시장집중도가 완화되면서 전반적으로 방송시장의 경쟁상황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방송사업자 간의 경쟁이 증가함에 따라 방송프로그램 제작비와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술투자 비용이 확대되는 등 방송서비스 이용자 후생 증가의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유료방송시장 평가결과 IPTV가 도입되면서 전체 유료방송 중 디지털방송 가입자의 비중이 1369만명으로 전체의 58.7%까지 늘었고 사업자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방송구역별 시장집중도가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KT계열(위성+IPTV)의 가입자 점유율이 2011년 23.4%에서 지난해 25.8%로 증가하고 2위 사업자인 CJ와의 격차도 2011년 7.7%포인트에서 지난해 11.0%포인트로 커지는 등 유료방송시장에서의 비중이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방송채널거래시장에서는 지상파방송의 영향력은 시청점유율이 2007년 65.3%에서 지난해 59.5%로 줄었으나 여전히 핵심적인 방송콘텐츠 공급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채널 재전송권 거래시장은 지상파 방송3사와 주요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간의 지상파 방송채널 재전송권 지급 관련 협상이 타결되면서 전송권료 지급여부에 대한 분쟁은 일단 종결됐으나 향후 재전송권 대가 수준 관련 분쟁이 발생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방송채널 거래시장에서는 유료방송 플랫폼으로부터 분배받는 일반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방송수신료 수익규모가 지난해 급격히 증가하는 등 수신료 시장규모가 2011년 3895억원에서 지난해 5011억원으로 확대됐고 CJ계열이 IPTV에 채널을 공급하면서 수신료 수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방송프로그램 거래시장에서는 종편채널의 도입으로 외주제작비 총규모가 증가하고 외주프로그램에 대한 지상파의 수요집중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주제작시장에서 지상파방송의 수요점유율은 2010년 81.9%에서 지난해 62.7%로 감소 추세에 있고 고품질 콘텐츠 제작능력을 갖춘 일부 외주제작사의 경우는 수요자에 대해서 상당한 수준의 협상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됐다.
전체 방송광고시장은 지상파 방송광고의 위축으로 시장집중도가 완화되고 민영미디어렙 도입으로 광고주의 채널선택권이 확대되는 등 경쟁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방송광고 시장규모는 라디오와 홈쇼핑 광고를 제외하고 3조3332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했고 전체 방송광고시장에서 지상파 3사 계열의 광고매출 점유율이 2007년 75.7%에서 지난해 66.4%로 지속적으로 감소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 방송3사 광고시장은 MBC의 부진과 KBS의 상대적 약진으로 방송사간 점유율 차이가 줄어 지난해 광고매출 기준 점유율은 MBC(지역MBC 포함) 34.9%, SBS(지역민방 포함) 32.8%, KBS 32.3%으로 순위변동 없이 점유율 차이만 감소했다.
미디어렙에서 유료방송광고 판매가 허용됨에 따라 지상파 광고판매 시, 유료방송광고를 끼워 판매하는 등 광고주의 선택을 제한할 수 있어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2013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결과는 최종 마무리를 거쳐 3개월 이내에 국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