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닥터아파트가 조사한 10대 건설사의 분양물량은 총 6만6918가구(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포함)다. 이는 지난해 6만6514가구 보다 0.6%(404가구) 증가한 수준이다.
대우건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0대 건설사 가운데 가장 많은 1만9814가구를 분양할 계획이지만, 지난해 2만2300여가구보다는 11.2% 감소한 수준이다.
서울 서대문 북아현뉴타운 북아현푸르지오(303가구. 5월), 서울 용산구 용산전면2구역(113가구. 7월), 부산 서구 서대신7구역 푸르지오(597가구. 9월), 위례신도시 위례 우남역 푸르지오 주상복합(630가구. 12월) 등을 공급한다.
롯데건설은 지난해 연기 됐던 서울 독산동 도하부대 부지 분양과 재개발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7883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난해 7200여가구보다 8.9% 증가한 수치다.
서울 독산동 도하부대 부지는 1~3차까지 분양을 계획 중이며 오는 2월 롯데캐슬골드파크(1차) 1562가구를 분양한다. 이외에 서울 미아동 미아4구역 롯데캐슬(292가구. 3월), 경남 창원 합성1동구역 롯데캐슬(738가구. 5월), 세종시 새롬동 2-2생활권 P1블록(972가구. 7월), 부산 대연동 대연2구역롯데캐슬(1893가구. 10월) 등을 분양할 계획이다.
GS건설은 지난해 2600여가구보다 194% 증가한 7767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총 9개 사업장 가운데 1000가구 이상 분양되는 곳이 3곳이다.
서울 역삼동 역삼자이(86가구. 2월), 경기 김포 한강센트럴자이(3640가구. 5월), 서울 보문동 보문3구역 보문자이(493가구. 6월), 서울 교남동 돈의문1구역 경희궁자이(1077가구. 9월), 서울 만리동 만리동2구역 만리자이(406가구. 10월) 등이 분양에 나선다.
포스코건설은 수도권 보금자리지구, 세종시 등에 6571가구를 분양한다. 지난해 6196가구보다 6.1% 증가한 수치다.
경기 구리갈매지구 더샵(857가구. 3월), 경기 하남미사강변도시 미사강변더샵(874가구. 5월),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3구역(378가구. 5월), 세종시 한솔동 2-2생활권 P2블록 더샵(861가구. 6월), 인천 송도국제업무단지 F13~15블록 송도더샵(2590가구. 하반기) 등을 공급한다.
현대건설은 고덕시영 등 서울 재건축, 신정뉴타운 등 뉴타운 등 6107가구를 분양 예정이다. 지난해 3060가구보다 99.6% 증가한 수준이다.
서울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472가구. 2월), 서울 양천구 신정4구역 목동힐스테이트(431가구. 3월), 서울 공항동 마곡힐스테이트(316가구. 4월),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3구역(504가구. 5월), 세종시 2-2생활권 P2블록(852가구. 6월) 등이 예정돼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세종시, 수원 권선지구에서 신도시, 택지지구 및 재개발 등 5282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지난해 8300여가구보다는 36.5% 감소한 물량이다.
세종시 새롬동 2-2생활권 P3블록(792가구. 6월), 경기 수원 권선지구 7블록 권선아이파크시티(1548가구. 9월), 광주 동구 학동3구역 아이파크(1063가구. 4월), 전북 전주 바구멀1구역(421가구. 10월) 등이 있다.
한화건설은 수원, 화성 일대 1000가구 이상 대단지를 포함해 4594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난해 1200여가구보다는 276.2% 증가했다.
올해는 경기 수원 오목천동 수원권선1차 꿈에그린(1224가구. 5월), 경기 화성 향남읍 향남꿈에그린(1160가구. 11월), 경기 용인 상현동 꿈에그린(600가구. 11월) 등을 선보인다.
삼성물산은 수도권 및 부산 지역 정비사업지를 중심으로 3799가구를 분양한다. 지난해 4800여가구보다는 21.9% 감소한 수준이다.
서울 강동구 고덕동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642가구. 2월), 서울 영등포구 신길뉴타운7구역래미안(791가구. 4월), 경기 안양시 안양덕천래미안(331가구. 9월), 부산 금정구 장전3구역래미안(1356가구. 9월), 서울 서초구 서초우성3차래미안(48가구. 9월) 등이 있다.
대림산업은 서울 북아현뉴타운 등 뉴타운, 재개발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3019가구 분양에 나선다. 이는 지난해 5400여가구보다는 44.5% 감소한 수치다.
서울 강남 논현동 e편한세상논현경복(56가구. 3월),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뉴타운 북아현e편한세상(664가구. 5월),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1-4구역 e편한세상(660가구. 9월), 전북 전주 바구멀1구역(420가구. 11월) 등을 공급할 예정이다.
SK건설은 서울, 부산지역 뉴타운, 재개발 정비사업을 통해 2082가구를 분양할 계획으로 지난해 5200여가구보다는 60.1% 감소했다.
서울 성동구 왕십리뉴타운3구역(379가구. 5월), 부산 남구 대연동 대연7구역(780가구. 9월), 부산 금정구 구서동 구서2구역(299가구. 9월) 등을 공급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