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21~22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제44차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일명 다보스포럼)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두 정상이 조우할지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두 정상이 같은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지난해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요20개국(G20)정상회의를 포함해 네 번째다.
박 대통령은 개막 당일 ‘창조경제와 기업가 정신’이란 주제로 개막 기조연설을 하는 반면 아베 총리는 첫 번째 섹션에서 기조 연설을 한다.
하지만 다보스 포럼은 여러가지 다양한 세션들이 동시에 진행되고, 회의 공간도 달리 운영하기 때문에 사전 스케쥴 조율 과정이 없으면 각국 정상들이 만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정부 측은 밝혔다.
박 대통령은 앞서 15일부터 18일까지 인도를 국빈 방문해 창조경제의 핵심인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 분야의 협력방안을 모색하며 우리 기업의 인도 진출과 원전 세일즈에도 주력한다.
아베 총리는 다보스 일정이 끝난 후 25일~27일 인도를 찾는다. 박 대통령은 국빈 방문으로, 아베 총리는 인도 최대국경일에 외국정상으로서는 유일하게 ‘주빈’ 자격으로 초청돼 상징성이 남다르다.
아베 총리 역시 인도 방문에서 원전 세일즈에 가세할 것으로 보이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목표로 인도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내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박 대통령은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확대에 반대 입장을 밝힘으로써 안보리 진출을 위한 인도와 일본의 협력에 제동을 걸었다.
현재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국만이 상임이사국 지위를 갖고 있는 데 대해 일본과 독일, 인도, 브라질 등 4개국은 상임이사국을 늘리자고 주장해왔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지난 15일 인도에서 방영된 국영방송 `두르다르샨'과의 인터뷰에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 문제와 관련, “상임이사국 증설보다 비상임이사국을 증설하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한국 정부는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개혁은 책임성·민주성·대표성·효율성의 방향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한 번의 선거로 영구히 지위를 갖게 되는 상임이사국 자리를 증설하는 것보다 정기적 선거를 통해서 변화하는 국제환경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비상임이사국 증설이 낫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