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출구전략에 신흥국 자금이탈 걱정 'No'… "오히려 매수기회"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미국의 출구전략이 신흥시장의 자금이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가 집계한 결과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14개 신흥국의 외국인 현지 국채 보유가 평균 0.3%포인트 감소했다.

EPFR은 국가별 차이는 있으나 신흥국 채권펀드가 투매보다는 소폭 조정됐을 뿐이라고 전했다. 브라질은 지난해 6월 외국인 세제 혜택이 종료됐음에도 외국인 국채 보유율이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15%에서 17%로 증가했다. 터키와 인도네시아에서도 이 기간에 각각 0.3%포인트 하락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상대적으로 적은 자금이 신흥시장에서 나갔으며 오히려 일부 투자자들은 매수 기회를 엿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출구전략이 신흥시장의 익스포저 기반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윌 오스왈드의 스탠다드차타드 채권투자 책임자는 "채권 수익률에 영향을 주겠지만 대대적인 자금 이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러한 성향은 신흥국의 주식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쿤 초우 바클레이스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8~12월 신흥국주식펀드에서 140억 달러가 빠져나갔으나 같은기간 주요 8개국은 230억 달러가 순입됐다"고 말했다.  

다만 이는 신흥시장이 위험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연준은 올해 양적완화를 축소하기로 결정하면서 불확실성은 남아있다. 윌 오스왈드 스탠다드차타드 고정수익 조사국 국장은 "수요가 둔화되면서 채권 수익률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대대적인 자금이탈이 발생되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세계은행은 주요 선진국의 출구전략이 신흥시장 내 외국 자금을 80% 이상 이탈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었다. 팀 아쉬 스탠다드뱅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1,2,3분기에 터키 시장에 유입된 자금 규모가 러시아 폴란드 헝가리 등 유럽 신흥국 나머지보다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터키가 외국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며 "비교적 자금은 견고하지만 출구전략이 실행되면 무너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