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7.7%를 기록했다. 중국은 연초에 성장 목표로 제시한 7.5%를 달성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성장률이 한자릿수로 내려앉은 뒤 굳혀지고 있는 중속(中速) 성장세는 계속 이어졌다.
중국은 2003년부터 10%이상의 성장률을 이어오다가 2008년 9.6%, 2009년 9.2%로 주춤한 후, 2010년 10.4%, 2011년 9.2%의 고성장을 이어가다 2012년 7.7%로 성장세가 둔화됐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어 세계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운 유럽연합(EU)의 재정위기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경제 침체로 외부 수요가 줄어든데다 중국 내부에서의 수요 부진이 겹치며 성장속도가 낮아진 것. 게다가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강조하면서 개혁을 앞세운 발전방식 전환과 산업 구조조정 등에 주력하기로 해 올해 성장도 이런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투자가 성장 견인, 소비도 확대되
중국 국가통계국은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2013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56조8845억 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7.7%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이중 1차산업은 4.0% 성장했고 2차산업은 7.8%, 3차 산업은 8.3% 성장해 2·3 차 산업의 성장 속도가 빨랐다. 분기별 GDP 증가율은 1분기 7.7%, 2분기 7.5%, 3분기 7.8%, 4분기 7.7%를 각각 기록했다. 4분기의 경우 전 분기 성장률 7.8%를 소폭 밑돌지만 시장의 전망치인 7.6% 성장을 근소하게 앞선 것이다.
지난해 중국의 산업생산은 9.7%가 늘어났으며 중국의 고정자산 투자액은 43조6528억 위안으로 명목상 전년 동기대비 19.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8조6013억 위안으로 명목상 19.8% 증가했다. 지난해 사회소비품 소매 판매액은 23조4380억위안으로 명목상 2012년도에 비해 13.1% 증가했다.
◆1인당 소득 500만원 넘어서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도에 비해 2.6% 상승, 기본적으로 안정을 유지했으나 식품 가격 상승률은 4.7%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12월말 현재 중국의 통화량(M2, 광의통화 기준) 잔액은 110조65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13.6% 늘었다. 지난해 누적 수출액은 2조2100억 달러로 2012년에 비해 7.9%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1조9503억 달러로 7.3% 늘었다. 이에 따라 총 교역액은 4조1603억 달러로 7.6% 늘어났으며 무역흑자는 2597억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의 도시주민 1인당 소득은 2만9547위안(한화 약 517만원)으로 명목상 9.7% 늘어났고 농촌주민 1인당 소득은 8896 위안으로 12.4%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중국 대륙의 인구는 13억6072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8만명이 늘어났다.
◆올해 성장률 7.5%안팎 전망돼
중국은 올해도 중속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중국과학원 예측과학연구센터는 지난주 '2014년 중국 경제 전망 보고회'에서 올해 중국 GDP 성장률을 7.6%로 예상했다. 양샤오광(楊曉光) 예측과학연구센터 부주임은 이런 전망의 근거로 가계 소득 증가가 더디고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부족할 것이라는 점을 들었다. 그는 올해 소매 판매 명목 증가율은 지난해에 비해 13.7%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치는 가운데 고정자산 투자는 20% 내외로 비슷한 수준을, 수출입 증가율은 8.2%로 다소 높아지는 흐름을 각각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고 중국 언론이 전했다.
중국 국가정보센터도 올해 중국의 예상 성장률을 7.5% 안팎으로 제시했다. 중국 정부가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12월 열린 중앙경제공제공작회의에서는 이런 여건들을 고려해 2012년과 지난해 7.5%였던 성장률 목표를 7%로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은행은 이달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미국와 유럽, 일본 등 주요 3개국 경제가 5년 만에 처음으로 동반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선진국의 탄탄한 성장과 중국의 계속된 경제 확장에 힘입어 신흥국의 성장세도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의 성장률은 7.7%에 이를 것으로 관측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