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제윤 금융위원장(왼쪽),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고객 정보가 유출된 금융사의 임원들이 대거 사퇴한 가운데,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물러날 임원들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엿보인다.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등 금융당국의 두 수장에 대한 사퇴 압박도 거세질 전망이다.
단, 피해자 구제대책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시점에서 사퇴만이 능사가 아니란 신중론도 제기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특정 직원의 일탈에서 비롯된 고객정보 유출 사건의 영향이 마치 '나비효과' 처럼 확산되면서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의 줄사퇴로 이어졌다.
그러나 사퇴만으로 일단락 되진 않을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빠르면 이달 중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정보유출과 관련된 금융사 임원들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하기로 헀다.
제재 대상은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한국씨티은행, 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등이다. 단지 현 임직원 뿐만 아니라 사고 당시 재직했던 전 임직원들까지 처벌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융당국은 2012년 6월 KCB 직원에 의해 카드사 정보가 유출됐을 당시 재직했던 임직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처음 카드사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알려졌을 당시에는 해당 카드사 CEO들의 대국민 사과로 사태가 유야무야 마무리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시중은행 고객의 정보까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해당 금융사 임원들이 대거 사퇴하는 상황까지 치닫았다. 해당 금융지주사의 회장들도 사퇴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한 게 사실이다.
금융권에선 신 위원장과 최 원장의 사퇴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또 이번 사태에 대해 신 위원장이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밝히자, 사퇴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피해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게 더 중요하지, 빠른 사퇴가 능사는 아니지 않겠냐"며 "조직 내에 책임자가 없으면 혼란을 수습하기 더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