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사진=신화사]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북한의 장성택 처형 이후 북ㆍ중 교역이 당분간 단절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의회보고서가 진단했다.
미 의회조사국 CRS는 최근 '북한의 대미관계와 핵외교, 내부상황'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공개해 장성택 처형은 여러 차원에서 김정은 정권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고 진단했다고 미국 현지 매체들이 2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특히 보고서는 장성택 처형 이후 대중 접촉선이 사라지면서 북ㆍ중 교역이 당분간 단절될 가능성이 있고 그간 중국의 영향력에 의존해온 미국의 대북정책에도 여파가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장성택은 친중국 성향의 인물로 북ㆍ중 국경선에 인프라를 구축하고 무역과 북한 경제특구에 대한 중국의 투자를 활성화한다는 장기 전략을 적극 추진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 산케이 신문은 27일 북한이 국경 지대의 친중국파 3000명 이상을 산간 지방으로 추방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 당국이 장성택 추종자를 제거하기 위해 평양과 국경 지대에 적발단을 파견했고 무역업자와 중국인을 상대로 한 호텔 종업원, 탈북자 가족 등을 체포·구속했다. 또한 별도로 3000명 이상을 산간 지방으로 몰아냈다고 신문은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