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도축비, 운송비, 보관비 등을 고려해 비축 지원금으로 토종닭 1마리당 1200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토종닭 출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도축·가공업체와 토종닭 농가 간 자율 비축 사업을 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며 "정부가 그 과정에서 들어가는 비용을 일부 지원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비축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것일 뿐 정부가 토종닭을 수매하기로 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토종닭 시세는 11일 기준 마리당 3200∼4400원에 이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매라고 하면 정부가 시가를 모두 주고 사들여 창고에 넣어뒀다가 파는 것을 의미한다"며 "시가를 모두 쳐주는 것이 아니고 판매 시기도 민간의 자율에 맡기기로 해 수매로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정부가 수매하지 않더라도 민간 비축을 지원하면 수매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행도 훨씬 빠르게 이뤄진다"며 "축산농가도 정부 수매보다 민간 비축 지원을 더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토종닭 출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도축·가공업체와 토종닭 농가 간 자율 비축 사업을 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며 "정부가 그 과정에서 들어가는 비용을 일부 지원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비축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것일 뿐 정부가 토종닭을 수매하기로 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토종닭 시세는 11일 기준 마리당 3200∼4400원에 이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매라고 하면 정부가 시가를 모두 주고 사들여 창고에 넣어뒀다가 파는 것을 의미한다"며 "시가를 모두 쳐주는 것이 아니고 판매 시기도 민간의 자율에 맡기기로 해 수매로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정부가 수매하지 않더라도 민간 비축을 지원하면 수매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행도 훨씬 빠르게 이뤄진다"며 "축산농가도 정부 수매보다 민간 비축 지원을 더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