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AI 원인분석ㆍ확산ㆍ방역 등 R&D에 167억원 투자

  • 환경부ㆍ복지부ㆍ미래부 등 범부처 차원 대응키로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정부가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환경부ㆍ보건복지부ㆍ미래창조과학부와 'AI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추진 계획'을 마련해 발생원인분석, 확산방지 등을 위한 원천ㆍ실용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박순연 농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장은 "이번 AI는 새로운 아형(H5N8)의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오리, 닭 등에 산반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야생조류에서도 검출되고 있다"며 "관계부처의 인력ㆍ재원ㆍ기술 역량을 결집해 현장적용성이 높고 단기해결가능한 기술분야을 중점 발굴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2017년까지 AI 발생원인분석, 확산방지 등에 총 167억원을 투자한다. 올해는 40억원을 지원해 AI 신속진단법, 살처분 기술개발 등에 우선 투자한다. 

철새 등 야생조류 관련 AI 연구는 환경부 주도로 농식품부와 협력해 추진한다. 

환경부는 올해 △야생조류 유래 AI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연구 △야생조류 AI 감염실태 및 역학적 변이기전 연구 △주요질병 감수성 야생조류 이동특성 및 생태 특성 연구에 12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복지부는 △인간-동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시체계 개발 △AI 백신접종 전략수립 기반 연구 △다중진단 현장용 인플루엔자 진단키트 개발 등에 38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아울러 미래부는 △AI 등 주요 이슈 감염병에 대한 국가간 협력 체계 △발생정보 공유 시스템구축 △현지 위험요인 역학분석 연구 등 조기 감시ㆍ인지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