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달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보다 4.6포인트 상승한 68.9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반면 자금조달 지수는 5년2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CBSI는 기준치(100)를 밑돌면 현재 건설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을 넘으면 반대를 의미한다.
CBSI는 지난 1월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64.3을 기록했으나 1개월 만에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3월(6.0포인트 상승) 이후 최대 상승폭으로, CBSI 수치 자체도 2012년 12월(68.9) 이후 14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발주물량 증가 등 계절적 요인에 힘입어 통상 1월보다 2월 CBSI가 증가하는데다 수도권 주택경기의 회복세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며 "재건축 규제 완화 등 정부의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완화 방침 발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CBSI가 여전히 기준치에는 한참 못 미쳐 건설기업 체감경기가 심각한 침체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업체 규모별로는 대형업체의 경우 84.6로 전월보다 6.0포인트 상승했다. 통계적 반등 효과가 반영됐으나 전월(78.6)을 제외하면 최근 8개월 내 가장 낮다. 같은 기간 중소업체 지수도 52.9로 9.5포인트 상승했으나 여전히 상대적으로 지수가 낮아 체감경기 침체가 심각한 수준이다. 중견업체는 전월보다 1.2포인트 하락한 66.7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지수 상승에 따른 통계적 조정일 뿐 지난해 9월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자금·인력·자재부문에서는 자금조달 지수가 65.1로 2008년 12월(46.4) 이후 5년2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야기했던 리먼사태 발생 직후 수준까지 악화된 것이다. 인력(99.3) 및 자재수급(101.3) 상황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3월 CBSI 전망치는 이달 대비 6.6포인트 상승한 75.5로 예상됐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내달 전망치가 이달보다 6.6포인트 상승한 것은 건설기업들이 건설경기 침체 수준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발주물량 증가 및 주택경기 회복 수준에 따라 내달 CBSI의 상승폭이 좌우될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