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앱 메인화면-국문
아주경제 모석봉 기자 = 이응노미술관(관장 이지호)이 모바일 앱(App)을 출시했다.
이제 이응노미술관 앱만 다운로드 받으면, 누구든지 자신의 스마트폰을 활용해 이응노미술관 전시 음성 가이드 서비스를 무료로 즐길 수 있게 됐다.
이응노미술관은 최근 국내·외 대표 미술관들의 모바일 서비스 개발 트렌드에 발맞춰 지난 10월부터 이응노미술관 모바일 앱 개발을 추진해왔다.
이응노미술관은 관람객의 활용도와 관람 편의에 중점을 둔 앱 개발을 목표로 △전시 음성 가이드 기능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폰 앱과 △미술관 소장품을 소개하는 디지털 전자도록 앱 (아이패드용) 두 가지로 분리·개발하여 앱의 활용도를 높였다.
특히, 전시 음성 가이드 기능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폰용 앱의 경우 관람객들이 특별한 조작 없이 미술작품 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AIM 연구실이 개발한 새로운 위치인식 기술인 ‘테이퍼(TAPIR) 기술’을 국내 미술관 최초로 도입했다.
‘테이퍼’기술은, 작품 옆의 초소형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인간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작품별 고유 사운드를 스마트폰의 마이크가 감지해 각 작품에 해당되는 음성 가이드(작품해설)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형태이다.
국내 최초로 이응노미술관에 도입된 이 기술은 관람객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특별한 조작 없이 미술작품 자체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닌다.
이응노미술관 모바일 앱은 안드로이드(Android)와 아이폰(iOS) 앱으로 제작됐으며,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구글 플레이(Google Play) 등에서 ‘이응노미술관’을 검색하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응노미술관 관계자는 “이응노미술관이 KAIST 문화기술대학원 AIM Lab과 협력해 새로운 위치인식 기술을 도입한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그것을 미술관 관람에 활용한 것만으로도 세계적인 수준의 역량이라고 볼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모바일 앱은 지난달 25일 개막한 ‘2014 이응노미술관 신소장품전’ 음성 가이드 서비스를 시작으로, 앞으로 이응노미술관에서 진행되는 매 전시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적극 활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