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임대주택 리츠에 13조원을 웃도는 기관투자자 자금이 유입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2ㆍ26 임대시장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발표된 '임대주택 리츠'를 추진하기 위해 오는 11일 기관투자자와 공동투자협약(MOU)을 체결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삼성·교보생명을 비롯한 16개 보험사와 우리·외환·신한·농협 등 10개 은행, 미래에셋·우리투자증권를 포함한 9개 증권사 등 총 38개 금융기관이 참여를 신청했다.
이들 금융기관이 제시한 투자의향 금액은 13조6000억원으로 당초 국토부 예상 금액(2조~3조원)의 5배에 달한다. 대부분 공공임대 리츠와 민간제안 리츠 모두에 관심이 있고, 우선주에도 투자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투자의향 규모는 오는 2017년까지 개별 기관이 임대주택 리츠에 투자 가능한 금액으로 확약 금액은 아니다. 개별 사업별로 투자여부 결정 예정이다.
임대리츠는 민간투자자의 투자위험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업구조를 표준화했다. 사업제안자의 토지 등 할인매각과 후순위 출자, 주택기금의 후순위 투ㆍ융자로 집값이 1% 내외만 올라도 안정적 투자수익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 공공임대 리츠에 출자할 경우 일반 부동산 리츠에 비해 절대 수익률이 다소 낮지만 △낮은 청산 리스크·공실률 △낮은 인허가·시공위험 △LH·주택기금의 후순위 출자 등을 감안하면 투자 위험 대비 수익성은 높다는 분석이다.
융자(선순위 PF대출ㆍp-ABS)의 경우도 LTV 20~30%의 최우선 순위 대출인 데다 공기업인 대한주택보증이 지급보증을 한다. 따라서 실질적인 무위험 채권이자 10년 만기 국채 금리(3.6%) 이상의 수익이 확보돼 투자 매력이 높아졌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10여년 전부터 민간자금 유치를 통한 임대주택 공급을 도모했으나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번번이 민자유치에 실패했다"며 "금융기관들이 예상 밖의 큰 호응을 보인 것은 임대주택 리츠의 표준화된 사업구조와 주택기금의 리스크 분담이 매력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햡약에 참가한 기관과 함께 시범사업을 비롯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또는 민간 제안 임대주택 사업에 대해 공동으로 사업성을 검증하고 사업구조와 재원조달 구조를 확정할 방침이다. 협약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금리입찰을 통해 낮은 금리를 제시한 금융기관을 투자자로 선정할 계획이다.
공공임대 리츠의 경우 하남 미사(1401가구)ㆍ화성 동탄(620가)지구가 시범사업지로 선정됐다. 이르면 오는 6월 리츠를 설립하고 7~8월 투자자선정 및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11월경 착공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직접건설과 리츠방식을 병행해 오는 2017년까지 10년 임대주택 LH 착공물량을 당초 계획물량(2만6000가구)의 2배 수준인 5만가구까지 확대해 서민 주거안정을 도모한다는 입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