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4 지방선거] ‘숨은 표’ 5%, 지방선거 승부 방향타…여야 사활 건 전쟁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숨어있는 표를 찾아라.”

6ㆍ4 지방선거 체제가 본격화되면서 ‘숨은 표’ 잡기를 위한 여야의 숨바꼭질이 시작됐다.

은폐형 부동층으로 불리는 숨은 표는 통상적인 선거에서 5∼10% 안팎을 차지한다. 전체 유권자 중 적게는 100만명, 많게는 200만명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17일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비상대책위원회와 세월호특별법준비위 등을 띄우며 기선 제압에 나선 가운데 여야 모두 숨은 표를 둘러싼 셈법에 분주한 모양새다.

‘51대 49’ 구도 등 초박빙 승부처에선 숨은 표가 당락을 결정짓는 방향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 선거 막판으로 흐를수록 여야가 숨어있는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이끌기 위한 전력 투구에 나서는 이유다.

특히 세월호 참사로 선거 기류가 확 바뀐 이번 지방선거에서 이들의 행보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박근혜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지지율은 ‘하락’, 야권 지지율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와 맞물려 부동층도 급증해서다.

정통적인 스윙보터(Swing Voter·이슈에 따라 움직이는 유권자 계층)와 함께 무당파를 형성한 ‘비 새누리-반 새정치연합’ 유권자 향배에 따라 지방선거 구도가 급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정당 지지율 조사를 보면, 세월호 이전인 4월 둘째 주 조사에서 무당파는 13.9%에 불과했다. 새누리당은 52.5%, 새정련은 28.5%를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5월 첫째 주 조사에선 무당파가 31.1%로 급증했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38.1%, 새정련은 25.6%로 집계됐다.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21.4%나 하락했지만, 새정련의 지지로 이어지지는 않은 셈이다. 일부 여권 성향의 지지층이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난 정부의 부실한 대응체계로 등을 돌렸지만, ‘일시적인’ 비판에 그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문제는 세월호 참사라는 초유의 사태 가운데 숨은 표가 어디로 흐를지 예단키 어렵다는 데 있다. 일단 야당은 2030세대에 적극 호소하는 방식으로 지지율 제고에 사활을 걸고 있고, 정부여당은 세월호 참사에 따른 비판 여론 수습을 제 1과제로 꼽았다.

새정련 한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선거에서 3주면 긴 시간이다. 언제 무슨 일이 터질지 모르는 게 한국 정치”라며 “숨은 표 등을 비롯해 세대별 투표율이 최대 승부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새누리당 관계자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유불리를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선 수습-후 사후대책’에 방점을 찍었다.

눈여겨볼 대목은 지방선거 특성상 여야 중 어느 쪽에 은폐형 부동층이 형성돼 있느냐는 것이다. 2010년 6ㆍ2 지방선거에선 야권에, 2012년 4 ㆍ11 총선에선 여권에 숨은 표가 각각 더 많았다.

4년 전 서울시장 선거 당시 여론조사에서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가 민주당 한명숙 후보보다 15%포인트 정도 앞섰지만, 실제 개표 결과 양 후보의 차이는 불과 0.6%포인트에 그쳤다.

19대 총선에선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의 민간인 불법사찰 논란으로 야권의 압승이 예상됐지만, 새누리당이 과반을 차지하며 보수의 파워를 보여줬다.

대선은 인물 선거, 총선은 정당 선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정권 심판론이 부상할 경우 여권, 새정련 안철수 공동대표의 지지율이 회복될 경우 야권에 다소 숨은 표가 많이 있다는 분석이 가능한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