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이 축소될 경우 중산층 근로자들의 세금 부담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업계 입장에서도 신용카드 사용률이 하락해 수익 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14일 금융권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신용카드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율을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다음달 초 이런 내용을 포함한 세제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축소는 이미 여러차례 검토된 바 있다. 특히 정부는 지난해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현행 15%에서 10%로 축소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근로자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축소는 특히 신용카드사들에게 큰 악재다. 정부의 체크카드 활성화 대책에 따라 신용카드 사용률이 점차 줄고 있는 상황에서 소득공제율마저 축소되면 카드사들의 수익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2012년 말 카드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수익이 반토막 난 카드사들은 수익 보전을 위해 부가서비스 등 카드 혜택을 줄인 바 있다. 이런 마당에 소득공제율 축소까지 단행된다면 신용카드는 지급결제수단으로서의 매력을 잃게 된다고 카드사들은 하소연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카드승인실적 증가율은 4.7%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10.9%)보다 낮은 수치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축소가 카드사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며 "특히 체크카드 비중이 적은 삼성, 현대, 롯데 등 기업계 카드사는 세제개편안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