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법무부]
개정안에 따르면 신임 검사들 중 부적격자를 걸러내기 위해 임용 후 2년째 되는 해에 법률전문가와 변호사, 법학교수, 검사 등으로 구성된 검사적격심사위원회를 열어 적격심사를 할 방침이다.
기존 검사들에 대한 심사도 현행 7년에서 5년으로 줄였다.
검사 부적격 사유의 세부항목은 △신체 또는 정신상의 장애 △근무성적이 현저히 불량 △검사로서의 품위 유지가 현저히 곤란한 경우 등으로 이전부다 구체화 될 예정이다.
또한 연예인 에이미를 감싼 전모 검사는 해임됐으며 수사 지휘 과정에서 경찰관의 영장 신청서를 찢고 폭언한 김모 검사도 견책 처분을 받았다.
이에 법무부는 비위 행위로 면직된 검사에게 2년간 변호사 자격을 주지 않도록 변호사법을 개정하는 등 잘못을 저지른 검사에 관한 관리 방안을 고심 중이다.
법무부는 "부적격 검사를 조기 퇴출해 검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