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현재 재배되고 있는 딸기 중 ‘설향’ 품종은 국내 재배면적의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촉성재배 방식으로 재배되고 있다.
촉성딸기는 꽃눈분화가 된 후에 정식해야 꽃눈이 발달해 적기에 수확할 수 있다.
딸기의 꽃눈은 자연 상태에서 9월 20일경에 꽃눈이 분화하지만 촉성재배를 위해서 포트에서 육묘할 경우 노지육묘보다 근권이 제한돼 꽃눈분화가 일주일 정도 빨라진다.
특히 올해는 지난 8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0.8∼3도가 낮아 꽃눈분화가 일찍 시작된 것으로 분석된다.
도 농업기술원 논산딸기시험장 이인하 연구사는 “올해 설향 포트묘의 꽃눈분화가 작년보다 4∼5일 앞당겨졌기 때문에 본포에 딸기를 심는 시기도 일찍 앞당겨서 이달 3~10일경에 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