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아 100명당 남아 105명이 출생/사진=MBC뉴스 화면 캡처 ]
통계청의 '2013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여아 100명당 남아의 수인 출생성비가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81년 이후 가장 낮았다.
한국의 출생 성비는 1980년대 초반 107 안팎을 유지하다 1986년 111.7로 올라섰고, 1990년에 116.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가 2000년까지 110 안팎에 머물렀다.
이후 출생 성비는 2000년대 들어 2001년 109.1, 2003년 108.7로 점차 하향 곡선을 그리다가 2007년 106.2로 '정상 범위'에 처음 진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둘째아의 성비가 가장 낮다"며 "둘째는 오히려 아들보다 딸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다"고 밝혔다.
여아 100명당 남아 105명 출생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여아 100명당 남아 105명 출생, 그래도 옛날보다 어느정도 균형이 맞는 것 같아 다행이다", "남아 선호 사상은 그만!", "여아 100명당 남아 105명 출생, 명절에 남아 선호 사상이 더 뚜렷해져"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