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의 당 혁신 작업이 갈림길에 섰다.
당 윤리심판원과 혁신위원회, 최고위원회 세 기구가 '혁신'을 고리로 뭉쳤지만, 사무총장 인선을 두고 계파 갈등이 다시 불거지는 등 당내 분란이 여전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표가 이종걸 원내대표와 이용득 최고위원 등이 반대하는 '최재성 카드'를 밀어붙인다면 당내 갈등의 불씨는 다시 타오를 수도 있다.
◆ 혁신위원회·윤리심판원 '당 기강 확립' 한목소리
혁신위는 18일 3차 회의를 열고 '당 기강 확립' 대책을 논의했다. 이들은 4시간여에 걸친 회의 끝에 '막말' 등으로 윤리심판원에서 징계를 받을 경우 공천이나 당직 인선에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채웅 혁신위 대변인은 "일정 수준 이하의 징계 조치에 대해서는 공천에서 감점을 주고, 일정 수준 이상의 경우에는 공천 대상에서 배제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며 "일정 수준 기준이 무엇인지는 여러 의원들의 견해차가 있어 합의점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
정 대변인은 "이는 안병욱 당 윤리심판원장이 혁신위에 주문했던 내용에 대한 화답이기도 하다"며 "(공천에서 배제하는 방안은) 안병욱 심판원장이 요청한 사항으로 혁신위 내부에서 긍정적으로 심도있게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당 기강 확립'을 천명한 혁신위와 윤리심판원이 서로의 활동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비노는 새누리당 세작" "혁신위원들은 문 대표의 전위부대" 발언으로 각각 심판원에 제소된 김경협·조경태 의원의 징계 수위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관련해 정 대변인은 "특정 개인에 대한 거취나 조치를 논의한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 '최재성 카드' 밀어붙이는 文…계파 갈등 심화되나
수습과 확산의 갈림길에 선 계파 갈등은 일단 공천권을 진두지휘할 사무총장 인선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비노(비노무현)계가 반대하는 '최재성 카드'를 고집할 경우 친노(친노무현)·비노 간 갈등은 심화될 수도 있다. 당내에서는 범친노로 분류되는 최재성 의원이 사무총장이 되면 '비노 물갈이'에 나설 수 있다는 비노 세력의 공포감이 상당하다는 분석이 많다. 문 대표가 이 원내대표 등 반대파를 설득하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험로가 예상되는 이유다.
비노계의 반발에 부딪혀 당직 개편 작업에 차질을 빚고 있는 문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당직 인선이 이번 주 내로 마무리되느냐'는 질문에 "인사를 부분부분 할 수도 없고 한꺼번에 하려고 하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논의해서 매듭짓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당의 통합과 혁신을 한목소리로 부르짖으면서도 친노·비노계가 모두 만족할만한 당직 인선이나 공천룰을 결정하지 못한다면 계파 갈등은 확산일로를 걸을 수밖에 없다. 계파 갈등을 푸느냐 키우느냐의 첫번째 키는 문 대표가 쥐고 있는 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