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신화통신]
중국 장쑤(江蘇)성 난징(南京)시 리지샹(利濟巷) 위안소 유적지에서 위안부 기념관 개관식이 열렸다고 관영통신인 신화망(新華網)이 2일 보도했다. 중국인과 한국인을 포함 300여명이 참석해 개관 행사를 더욱 뜻깊게 만들었다.
기념관은 총 3000㎡ 규모로 외벽과 전시실에 '눈물 방울' 모양의 조형물을 설치해 당시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나타냈다. 잔혹한 행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과거 기록물 뿐 아니라 고통스런 시간을 지나보낸 후 할머니가 돼버린 피해자들의 현재 모습도 사진으로 남겨져있다. 1600여 점의 전시물과 도면 400장, 사진 680장 등도 관람할 수 있다.
조형물 중 '만삭의 위안부' 동상은 북한의 박영심 할머니(2006년 별세)가 주인공으로, 2003년 직접 난징을 방문해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증언한 바 있다.
중국 위안부 피해자인 레이구이잉(雷桂英·2007년 별세)이 기증한 위안부 검사 의료기기, 콘돔과 연고 등도 기념관에 전시됐다. 신화망은 "콘돔과 연고에 적힌 '돌격 앞으로'라는 문구는 일본군이 위안소를 조직적으로 운영했다는 증거"라고 전했다.

[사진=신화통신]
중국은 지난 10월 난징대학살 기록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했지만 같이 신청했던 일본군 위안부 기록은 등재에 실패했다. 이후 중국은 "다른 국가와 협력해 다시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의안부 기록 등재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