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소유자 1265만명…두 채 이상 소유 172만명

  • 주택보유자 51.8%가 40∼50대…'집 있는 30대'는 4만8000명 감소

[그래픽제공 = 통계청]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국민 중 집을 가진 사람이 1265만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집을 두 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는 172만명으로 전년 보다 2만7000명 늘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4년 개인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주택을 소유한 개인(공동 소유 포함)은 1265만명으로 전년보다 25만2000명(2.0%) 증가했다.

이는 2013년 증가 폭인 3.0%(36만6000명)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주택 소유자는 남성 비율이 57.6%로 여성(42.4%)보다 15.2%포인트 높았으며 주택 소유자 평균 연령은 53.6세로, 전년보다 0.4세 높아졌다.

40∼50대가 전체 주택 소유자의 51.8%를 차지했으며 60대(16.8%), 30대(14.6%), 70대(11.0%)가 뒤를 이었다.

40대 이상 주택 소유자는 1년 전보다 30만명 증가했지만 30대 이하 소유자는 4만8000명 줄었다.

특히 '집 있는 30대'가 3만6000명 줄었다. 20대 이하는 1만2000명 감소했다.

집을 2채 이상 가진 사람은 172만1000명으로 전년(169만4000명)보다 2만7000명 늘었다.

세분하면 2채 141만5000명(11.2%), 3채 18만7000명(1.5%), 4채 4만3000명(0.3%), 5채 1만8000명(0.1%), 6∼10채 3만3000명(0.3%)이었다.

11채 이상 가진 사람도 2만5000명(0.2%)이나 됐다.

주택 소재지를 기준으로 보면 실제로 거주하는 시·도에 주택을 가진 사람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92.9%)이었다.

제주(90.9%), 부산(90.8%), 전북(90.6%)도 높은 편이었다.

세종(63.4%), 충남(81.6%), 인천(81.7%)에선 거주지와 소유 주택 소재지가 다른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난해 개인이 소유한 아파트는 790만8000호로 2013년보다 25만7000호(3.4%) 늘었다.

개인 소유 아파트의 절반가량(49.3%)이 수도권에 있다.

아파트를 소유한 개인(부부 등 공동명의 포함)은 790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25만3000명(3.3%) 증가했다.

아파트는 1건을 소유한 개인이 91.9%였고 2건 소유자는 7.1%로 집계됐다.

3건 이상은 0.6%였고 아파트를 11건 이상 보유한 사람도 4000명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