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금융보안원]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금융보안원은 올해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한 핀테크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디도스(DDos) 공격 시도 등의 사이버 위협도 지속되는 한편 다양한 금융서비스가 새로 도입되는 만큼 보안 취약점도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보안원은 5일 발표한 '2016년도 금융 IT·보안 10대 이슈 전망'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우선 신기술 분야의 경우 스마트폰 등 IT 기기의 발전으로 바이오인증 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가 금융권 전반에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관련해 국내 은행들은 금융거래 시 정맥 또는 홍채 인증 등을 적용해 본인 인증을 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또 금융보안원은 보안성과 투명성, 비용절감 요구가 늘어나면서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한 금융서비스도 본격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내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기록·보관해 '공인된 제3자' 없이 거래 기록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지난해부터 핀테크 열풍이 거세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종류의 보안 위협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도 지속적인 디도스 공격 시도, 진화된 변종의 표적형 랜섬웨어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금융보안원은 디도스공동대응센터를 확대 운영하고 통합보안관제 및 취약점 점검 강화 등을 통해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자율보안체계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제도 개선으로 금융사의 역할과 책임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허창언 금융보안원장은 "금융·IT 융합과 금융개혁 가속화로 금융보안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위협에도 흔들림 없는 뿌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