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아주경제DB]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해양수산부는 내달부터 전국 377개소 해안 쓰레기 오염실태 일제조사에 들어간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조사하는 해안은 전국 자연해안의 약 10%에 해당하며 지자체와 지역 주민 설문 등을 통해 조사 해안을 선정했다.
일제조사 결과는 효과적인 해안 쓰레기 수거,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등 해안 쓰레기 상시 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에 쓰인다.
또 지역별 쓰레기양을 고려해 현재 전남 신안과 제주도에 짓는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 같은 시설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시민이 오염 현장에서 실시간 제보를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지자체와 협조해 제보 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해양쓰레기 기동처리반'도 운영할 방침이다.
한 해 동안 바다에 버려지는 해양 쓰레기는 초목(草木)을 포함해 약 17만6000t으로 15t 대형트럭 1만2000대 분량에 이른다.
이 가운데 전국 해안가에 쌓인 쓰레기는 약 1만2000t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지역별 쓰레기양과 오염 정도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황의선 해수부 해양보전과장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 등과 함께 오염 우려·심각 지역을 중심으로 수거사업을 추진하는 등 해안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