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문화재청 제공]
아주경제 정등용 기자 =문화재청이 7일 보물 제1021호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국보로 승격 지정했다. ‘고려 십육나한도(제7가리가존자)’ 등 6건은 보물로 지정됐다.
국보 제233-1호로 승격 지정된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766년에 제작된 우리나라 최고의 지권인(가슴 앞에 세운 왼손 검지의 첫 마디를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 모양) 비로자나불상으로, 제작연대를 밝힐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한 고대 조각사 연구에서 기준이 되는 유물이다.
한동안 학계에서는 지권인을 취하고 있는 비로자나불 형식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를 9세기 중엽으로 보았으나, 이 불상의 발견으로 이미 8세기 중엽에 ‘지권인을 하고 장엄이 없는 여래형(如來形)의 비로자나불’이 성립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일부 훼손된 부분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불두와 불신의 비례가 적절하고 조각 수준이 높아 조형적으로 우수하다.”며 “이미 불상의 대좌 가운데 받침돌 안에서 발견된 납석사리호(蠟石舍利壺, 곱돌로 만은 항아리)가 1986년 국보로 지정된 만큼, 이를 봉안했던 석불은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외에 '고려 십육나한도(제7 가리가존자)', '고려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 '고려오백나한도', '신묘삼월 문무과전시방목',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등 6점은 보물로 지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