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서울시 제공]

[이미지=서울시 제공]

[이미지=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의 여성 임금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181만원으로 남성(285만원) 64% 수준에 그쳤다. 반면 여성이 하루 중 가사 및 돌봄에 쓰는 시간은 총 2시간57분으로 남성(40분)보다 2시간17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남녀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키 위해 '2015 성(姓)인지 통계,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을 발간하고 12일 이 같이 분석했다.
'성인지 통계'는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성별로 불평등한 현상을 보여주고 철폐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가족, 보육, 경제활동 등 10개 분야 379개 지표로 구성됐다.
자료를 살펴보면, 남성의 70% 이상이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제도를 잘 알고 있지만 사용 비율은 3.2%에 그쳤다. 앞서 2004년 1.3%, 2006년 1.4%, 2010년 1.9% 비율과 비교해보면 지속적으로 증가세에 있지만 여전히 남성들이 활용하는데 크게 어려웠다.
'은퇴 후 일자리 영역'과 관련해서는 서울 거주 여성의 59.1%, 남성 68.1%가 200만원이 넘는 소득을 원했다. 하지만 실제 65세 이상 여성과 남성의 각각 57.2%, 38.4%는 100만원 미만이었다. 은퇴 뒤 재취업 비율을 보면 60세 여성 13%, 남성 19%였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가사분담을 남녀가 평등하게 나눠야 된다고 생각한 것과 달리 10년 동안 변화가 없었다고 분석했다. 또 여성들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여전히 길다고 봤다.
박종수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비율이 낮고 은퇴 후 일자리 영역에서 나타나는 남녀 차이가 두드러졌다"면서 "매년 테마별 성별분리통계를 작성해 성주류화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5년 성인지 통계 책자파일은 서울시 홈페이지 정보소통광장(http://opengov.seoul.go.kr/analysis)에서 볼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