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와 각지게 마주 바라본 경기도청사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가 보육대란을 막기 위해 최소한의 누리과정 예산을 부담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12일 수정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앞서 남경필 지사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우선 최소한의 예산을 세워 보육대란의 급한 불은 끄고 중앙정부, 국회, 교육청과 해법을 찾는데 힘을 모으자.”며 “최선을 다한 이후에도 문제 해결이 안되면 경기도의회와 협의해 이번에는 경기도가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이번 수정예산안 규모는 지난해 11월 도가 경기도의회에 제출한 2016년도 예산안보다 2천억 원이 늘어난 19조 8055억 원이다. 도는 늘어난 2천억 원은 지방세 추가분으로 충당하고, 이 가운데 교육협력국 교육협력사업에 2개월분 누리과정 예산 910억 원을 편성했다.
도 관계자는 “허리띠를 졸라매서 보육예산을 마련한 만큼 이제는 경기도의회 더민주당과 경기도교육감이 도내 35만 아동과 학부모에게 답을 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이번 예산안이 가결된 후에도 2월말까지 누리과정 예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3월 추경을 통해 나머지 예산을 편성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허리띠를 졸라매서 보육예산을 마련한 만큼 이제는 경기도의회 더민주당과 경기도교육감이 도내 35만 아동과 학부모에게 답을 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