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제공 = 통계청]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달 청년 실업률이 큰 폭 오르며 7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지난해 말 50만명에 육박했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다시 30만명대로 추락했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1월 취업자 수는 2544만5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3만9000명 증가했다.
작년 11월 20만명대로 떨어졌던 월간 취업자 수 증가 규모는 12월 49만5000명 늘며 1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지만 1월 들어 지난해 연간 수준(33만7000명)으로 떨어졌다.
다만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둔화했을 뿐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등 주요 고용지표는 일제히 개선세를 보였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1.1%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고용률은 58.8%로 0.1%포인트 늘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2%로 0.4%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실업률은 3.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 취업자 수는 394만2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2만5000명 늘었다. 고용률은 41.7%로 0.4%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청년(15∼29세) 실업률은 9.5%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지난해 6월(10.2%)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청년 실업률은 방학 동안 아르바이트를 구하려는 학생이나 취업 시즌을 앞두고 일자리를 찾는 학생이 늘기 때문에 겨울철에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를 고려하더라도 1월만 놓고 봤을때 올해 청년 실업률은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최근 경기가 어려워 청년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1.6%로 작년 3월 (11.8%)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김진명 기재부 정책기획과장은 "지난해 1월보다 수출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이 커졌는데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반적인 고용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지만 대외 불확실성 증가하고 기저효과가 커진 점이 고용 증가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