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소방본부(본부장 정문호)는 현재 통·반장 위주로 약 1만1,300여 명인 ‘재난상황 알리미’ 대상자를 재난에 취약한 아동을 관리하는 학교·유치원 교사 및 대중교통 운전자 중심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재난상황 알리미’서비스는 각종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현장 주변의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재난상황을 문자로 안내해 주고 있다.
소방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발생한 부평역 인근 선로 크레인 전복사고, 12월 갈산역 사거리 상수도관 파열 사고 등 지난 한 해 동안 모두 5회에 걸쳐 35,000여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소방본부는 서비스 효과를 극대화하고,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동을 관리하는 교사들과 대중교통 운전자들도 서비스 대상에 추가하기로 했다.
우선 3월 한 달 동안 휴대전화 정보 등 추가 대상자 정보 파악을 마치고, 이르면 4월말 사건·사고부터 확대 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일반 시민들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서비스를 희망하는 만 19세 이상 시민은 인천소방본부 홈페이지(http://119.incheon.go.kr/)를 참고해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를 작성한 후, 3월말까지 팩스(☎463-6310) 또는 이메일(k5612809@korea.kr)로 신청하면 된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재난상황 알림서비스는 대형재난이나 특이사고에서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라며, “휴대전화 번호 같은 개인정보 수집은 본인 동의가 필요한 만큼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