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자대호[사진=중국미술연구소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18세기 후반 조선시대 백자대호(白瓷大壺)가 일본에서 발견됐다.
중국미술연구소(대표 전윤수)는 일본 도쿄의 한 미술품 수집가가 높이 54㎝, 너비 46.5㎝인 백자대호를 소장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수집가는 50여 년 전 일본 경매를 통해 도자기를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달항아리'로도 불리는 유백색의 백자대호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까지 경기도 광주 분원관요에서 생산됐으며, 따로 만든 위쪽과 아래쪽 몸체를 접합해 만들기 때문에 좌우가 비대칭인 것이 특징이다. 백자대호는 주로 왕실 행사에 사용됐으며, 국내외에 20여 점만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백자대호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용인대에 있는 국보 제262호 백자대호(높이가 49㎝)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이 관리하고 있는 국보 제309호 백자대호는 높이가 44㎝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