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오는 11월 일몰되는 기업재무구조안정 PEF의 일몰 연장이나 상시화를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한다.
재무안정 PEF는 자본시장법상 특례 조항에 따라 설립되는 펀드로, 절반 이상의 자금을 부실기업에 투자하는 조건으로 조성한다.
지난 2010년 6월 한시적(3년)으로 도입됐다가 2013년 일몰이 한 차례 연장된 바 있다.
지분 투자만 가능한 일반 PEF와 달리 회사에 대출해줄 수 있고, 필요할 때 부동산 등 자산 취득 형태의 투자도 가능하다. 특례가 추가 연장되지 않으면 오는 11월 이후에는 새로운 재무안정 PEF를 설립할 수 없다.
재무안정 PEF는 연합자산관리(유암코)가 기업 구조조정 전문 회사로 활동하기 위해 꼭 필요한 펀드로 꼽힌다.
6개 민간 은행들이 출자해 만든 유암코는 은행권 부실채권(NPL) 전문 투자 기관에서 기업 구조조정 전문회사로 확대 개편된 곳으로, 재무안정 PEF를 통해 투자한 기업을 3~4년 안에 정상화해 다른 곳에 되파는 것이 목표다.
민간 투자자들과 함께 공동으로 재무안정 PEF를 설립해 부실기업 채권ㆍ주식을 사들인 뒤 기업을 살려내거나 시장에서 퇴출하기 위한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재무안정 PEF 규모는 4조4000억원 수준이다. 이 가운데 유암코 참여 펀드 규모는 1조7000억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