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미세먼지와 디젤차 그리고 친환경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07 15: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산업부 이소현 기자]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디젤차가 미세먼지 논란으로 ‘미운오리새끼’ 취급을 받고 있다.

한때 디젤차는 높은 연료효율성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솔린차와 비교할 때 시끄럽고 진동이 심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았다.

이후 디젤기술이 발전해 소음과 승차감이 가솔린차 수준으로 개선되면서 완성차 업체들은 앞다퉈 디젤차를 출시했다.

여기에 국내 수입차 시장이 커지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인기를 얻으면서 디젤차 시장은 급속도록 확대됐다.

실제 디젤차의 신규등록 비중은 2006년 39.2%에서 지난해에는 52.5%까지 급증한 반면, 가솔린차 비중은 같은기간 44.1%에서 37.2%로 떨어졌다.

최근 미세먼지 논란이 증폭되면서 디젤차는 또다시 미운오리새끼 취급을 받고 있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는 것. 폭스바겐에 이은 닛산의 배출가스 조작 의혹 등 디젤차를 둘러싼 문제가 잇따라 발생한 탓이다. ‘친환경’이라는 수식은 더 이상 쓸 수 없게 된 분위기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디젤 차=나쁜 차'라는 인식의 확산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디젤엔진은 트럭과 건설기계처럼 순간적으로 힘이 필요한 차량에는 필수적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정부의 정책은 오락가락 하고 있다. 지난 2009년 정부는 ‘클린디젤’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디젤차를 친환경차라고 선전하며 구매를 부추겼다. 그러더니 7년 만에 디젤차가 미세먼지 주범이라며 경유값을 올리고 부담금을 폐지하자며 난리법석이다. 애꿎은 소비자들은 혼란에 빠질 수 밖에 없다.

미세먼지는 디젤차만의 문제는 아니다. 디젤차가 줄고 가솔린차가 늘어난다고 환경문제가 온전히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소모적인 논쟁보다 환경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인 대책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정책으로, 완성차업체들은 친환경 기술 개발에 힘을 실어야 한다. 단순히 소비자에게 모든 비용을 전가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