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주택 개념. 자료=서울시 제공
사회주택은 시가 토지를 매입해 민간 사업자에게 30년 이상 저렴하게 빌려주고 여기에 사업자가 주택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해 입주자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최장 10년까지 임대하는 민관 공동출자형 신개념 임대주택이다.
공동체주택은 독립된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한 주거공간으로, 공동체 규약을 마련, 입주자 간 소통·교류를 통해 생활문제를 해결하거나 공동체활동을 함께하는 새로운 형태의 주택이다.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에는 2명 이상의 건축 전문가가 상주하며 사회주택과 공동체주택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안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업신청 방법부터 입주 정보까지 실질적인 상담을 해준다.
입주를 희망하는 예비입주자들도 입주정보와 입주신청 등을 자세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시는 예비 입주자와 사업자 간 정보 교류와 소통을 위한 온라인 홈페이지도 연내 구축해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이날 오전 10시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 개소식을 연다. 개소식에서는 센터 운영 수탁기관인 (재)한국사회투자(대표 이종수)와 서울시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향후 2년간 센터 운영에 대한 적극적인 협력을 약속할 예정이다.
또 시는 1월 '사회주택 7대 사업성 개선대책'을 내놓았으며, 다음 달 더욱 구체적인 개선대책을 선보일 예정이다. 우선 토지임대부 사회주택의 경우 사업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토지임대료를 기존 금리에서 1%까지 낮춘다.
시가 매입하는 토지의 매입가격을 종전 12억원 이내에서 서울지역 평균 매입가격(3.3㎡당 1600만원)을 적용한 16억원으로 상향하고 지역별 편차를 적용해 매입가격을 현실적으로 조정한다. 또 건축시공 시 사업자가 의무적으로 서울시 공공건축가의 자문을 거치도록 한다.
사회주택 입주 대상은 서울 시민 중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100% 이하인 무주택세대 구성원이다. 입주자 모집은 각 사회주택 유형별로 입주 일정에 따라 SH공사를 통해 연중 수시로 진행될 예정이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사회주택이 사상 최악의 주거난을 겪는 청년층 등에게 새로운 주거대안으로서 ‘이사 걱정’, ‘임대료 부담’, ‘집주인과의 갈등’ 3가지 걱정 없는 주택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