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한국은행 제공]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중 지역별 국제수지' 자료에 따르면 작년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는 1058억7000만 달러로 2014년(843억7000만 달러)보다 25.5% 증가했다.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됐고, 수입 감소폭이 수출을 웃돌면서 흑자 규모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 보면 대중국 흑자는 451억4000만 달러로 전체 경상수지 흑자의 42.6%를 차지했다.
이에 대중국 경상수지 흑자는 지난 2013년 566억9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뒤 2년 연속 줄었다.
작년 중국과의 화공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수출이 감소해 상품수지 흑자가 축소됐고 운송 등 서비스수지의 흑자도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 작년 대중국 상품수지 흑자는 343억3000만 달러로 2014년 대비 20.3% 줄었다. 이는 2011년 254억3000만 달러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출이 1214억5000만 달러로 2014년보다 7.6% 감소했다. 서비스수지 흑자도 53억4000만 달러를 기록, 2014년 대비 32.2% 줄었다.
작년 대미국 경상수지 흑자는 338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2014년 409억9000만 달러와 비교해 17.4% 감소했다.
서비스수지 적자가 143억8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30.7%나 급증했다. 이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8년 이후 최대 규모다.
동남아시아와의 거래에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014년 735억 달러에서 작년 621억 달러로 작아졌다.
중남미 역시 같은 기간 183억3000만 달러에서 148억6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일본과의 경상수지 적자는 지난해 196억8000만 달러로 2014년보다 35억2000만 달러 확대됐다.
이에 반해 유럽연합(EU)과의 거래에서 경상수지 적자는 2014년 130억9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88억4000만 달러로 축소됐다.
중동과의 거래에서 경상수지 적자도 799억4000만 달러에서 343억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7% 급갑했다.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중동산 에너지류 수입액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금융계정(준비자산 제외)에서 순자산은 2014년 714억5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976억8000만 달러로 늘었다.
우리나라 순자산은 미국과의 거래에서 1년 동안 184억5000만 달러 증가했고, EU와의 거래에서는 312억 달러 늘었다.
반면 일본과의 거래에서 순자산은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 증가 등으로 18억3000만 달러 줄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