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AP]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프랑스에서는 노동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정부와 노동계의 온도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시위 형태도 격화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아이리시타임스 등 외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미리앙 엘 코므리 노동부 장관과 필리프 마르티네즈 노동총동맹(CGT)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처음으로 면담했으나 견해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마르티네즈 사무총장은 면담 뒤 기자들과 만나 "대화는 건설적이었지만 근본적인 문제에서 견해차를 확인했다"면서 "오는 23일과 28일 노동법 개정안 철회 촉구 시위를 강행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긴급명령권을 발동해 노동법 개정안을 직권으로 통과시켰다. 법안에는 주 35시간 근로제의 폐지, 해고요건 강화 등이 담겨 있어 '친기업' 정책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정부 측에서는 10%가 넘는 높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노동법 개정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노동계는 개정안 철회를 촉구하면서 철도, 항공, 정유공장 파업으로 맞서고 있는 상태다. 지난 14일 파리에서 열린 시위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어린이 병원 창문을 부수고 경찰에게 돌을 던지는 등 과격 행동을 하기도 했다.
한편 전날 발표된 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랑스인의 64%는 시위와 파업 문제를 초래한 노동법 개정안을 철회해야 한다고 대답한 것으로 정부와 노동계 간 갈등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