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 확정, 총 사업비 7조7185억 원

  • 올해까지 기 투자 2조8439억 원, 2017년 이후 4조8746억 원 투입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 종합계획도. [사진제공=경상북도]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 경북도가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에 따른 사업에 착수하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경북도가 울산광역시·강원도와 공동으로 입안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을 21일 결정고시했다.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특별법’에 근거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울산·강원·경북의 해안선에 연접한 15개 시군구(9185㎢)를 대상으로 오는 2020년까지 24조1891억 원을 투자하는 중·장기계획이다.

변경계획안은 ‘환동해권 블루 파워 창조 벨트’를 비전으로 동해안권 창조경제 거점 조성과 환동해 해양·대륙 소통 교두보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해양자원 신성장 동력 창출 △신산업 창출 및 특화산업 기반 구현 △환동해 국제관광 기반 조성 및 복합 관광 육성 △환동해 소통 인프라 확충 등 4개의 추진전략으로 112개 개발 사업을 추진 할 예정이다.

‘미래 에너지·해양자원 신성장 동력 창출’ 추진전략에 9개 사업 1조6710억 원의 예산이 집행된다. 동해안 에너지 산업의 다양성을 확보, 신·재생에너지 산업거점 구축을 통한 해양자원 산업화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계획이다.

‘신산업 창출 및 특화산업 기반 구현’을 통해 융·복합형 산업기반을 조성하고 산업간 연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경쟁력 강화, 친환경 농수산물의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기반 조성한다. 8개 사업에 4730억 원이 투입된다.

‘환동해 국제관광 기반 및 융·복합 관광 육성’은 1조8134억 원의 예산으로 22개 사업을 추진한다. 권역별 특화개발을 통해 환동해권 글로벌관광 거점과 해양 휴양·레포츠 벨트를 구축한다. 또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융·복합 관광을 육성한다.

5개 사업에 3조7611억 원이 투입되는 ‘환동해 소통 인프라 확충’은 동해안권의 해양·대륙 소통 기반 마련하고 동해안권의 발전축 형성 및 내륙과의 연계 체계를 마련하는데 역점을 둘 방침이다.

이사업이 완료되면 경북지역에서만 생산 10조2558억 원, 부가가치 3조9392억 원, 수입 1조1176억 원, 신규 고용 창출 8만3292명 등의 파급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