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드라이버]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최근 카카오드라이버 출시로 대리운전 시장에 뛰어든 카카오가 업계 관행 등 불합리한 행태에 강력히 맞서기로 했다.
카카오드라이버를 견제한 기존 대리운전 업체가 이 회사 소속 기사를 대상으로 제명 처리 등의 조치를 취한다는 지적에 따른 결정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 기사의 불합리한 형태에 대해 민원을 받고 있으며, 법적 검토를 통해 공정거래위원회 제소와 검찰 고발까지 고려하고 있다.
카카오드라이버는 출시 이후 손쉬운 사용과 간편한 결제 등으로 주목받았지만, 기존 대리운전 업계와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갈등을 빚었다.
일부 대리운전 업체에서는 카카오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기사를 제명 처리하거나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 카카오에 따르면 드라이버 기사 민원은 220여건에 달한다. 접수된 민원 내용은 퇴사 조치, 셔틀버스 이용 불가 등이다.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 기사용 애플리케이션(앱)의 '문의하기' 기능을 통해 기사들이 실제로 겪는 불편함 및 피해, 협박 등의 민원을 받고 있다.
접수된 내용은 이른 시일 내에 법적 검토를 마쳐 공정위 제소는 물론 검찰 고발까지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앞서 사단법인 전국대리기사협회는 성명을 통해 기존 대리운전 업계가 카카오드라이버 기사를 퇴출하려는 움직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협회는 업체가 대리기사를 직접 자르지 않는다 하더라도 카카오 이용 기사에게 배차 시간을 늦추는 등 보이지 않는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