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공동주택 내 간접흡연 피해 현황. 표=서울의료원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의 공동주택에 거주 중인 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이 가정 내에서 외부로부터 담배 연기가 흘러 들어오는 '간접흡연 침입'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이 지난해 8~9월 시내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연립 포함)에 사는 2600명을 대상으로 벌인 '간접흡연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비흡연자 1241명 가운데 최근 1년 동안 간접흡연 경험 비율은 73.5% 수준으로 집계됐다. 주택 형태에 따라서는 아파트(73.8%)와 다세대(73.1%) 간 차이가 없었다.
담배연기 침입 경로는 간접흡연을 겪은 912명 중 '베란다·창문' 73.1%, 화장실 14.3%, 현관문 11.4%, 기타 1.2% 순으로 파악됐다. 간접흡연이 이뤄지는 계절은 여름(52.5%), 하루 중에는 오후 시간(58.3%)이 가장 많았다.
간접흡연을 피하는 방법으로는 "창문을 닫는다" 48.1%, "아무것도 안한다" 20.9% 응답율을 각각 차지했다. 이와 별개로 공동주택 내 거주하는 흡연자(총 1359명)는 담배를 피는 장소로 '건물 밖 실외'(58.8%), 베란다·발코니(21.2%) 등이 다수를 차지했다.
김규상 서울의료원 환경건강연구실장은 "직간접 흡연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건 대다수의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주택 사이의 간접흡연 침입 문제의 심각성은 인식하지 못해 적절한 홍보 및 교육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한편 간접흡연은 본인 의사와는 관계없이 흡연자 주위에 있는 이들이 담배연기를 간접적 또는 수동적으로 흡입, 담배를 피운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현상을 일컫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