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게위판 장면.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동해안의 대게 및 붉은 대게 자원보호를 위해 수산업법 및 수산자원관리법을 위반해 불법 포획하거나 유통하는 사범에 대해 오는 11월 1일부터 어업정지 처분으로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어업허가 행정처분 강화는 일부 어업인들이 수익성이 높다는 이유로 어린대게 및 암컷대게 포획금지기간 위반 등의 무분별한 포획을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일일 조업으로 과징금과 벌금을 충당할 수 있다는 어업인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고 불법 포획·유통행위 악순환을 근절시키기 위해 연안어업과 근해어업 대게 및 붉은대게 사범에 대해 과징금 부과를 배제시키기로 했다.
지역현안인 불법어업 근절을 위해 지난해 구성된 경북도 특별기동단속반에서는 2015년부터 2016년 7월말까지 84건의 대게사범을 검거해 암컷대게 4544마리, 어린대게 1만4751마리, 대게 1만690마리 등 총 2만9985마리(싯가 1억5000만원)를 압수해 바다에 방류했다.
특히 지난 5월 19일 포항 영일만신항 2마일 해상에서 수산업법으로 금지된 소형기선저인망(일명 고데구리)어선을 우리지역에서 10여년 만에 처음으로 검거하는 큰 성과를 이룬바 있다.
권영길 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앞으로 경북지방경찰청 해양범죄 수사계, 포항해양경비안전서 등 수사기관과 연계해 대게·붉은대게 사범에 대해서는 유통경로 등을 역추적해서 불법 어획물 포획·운반·유통 행위자를 모두 검거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단속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어업인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자율적으로 감시하고 자원보호에 앞장 써줄 것을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