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으로 옮겨 붙은 가계부채…시한폭탄 되나?

[그래픽=임이슬기자 90606a@]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은행권과 보험업권에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적용했지만 상호금융과 신용협동조합 등 2금융권으로 ‘풍선효과’만 나타나고 있어 대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현재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262조800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총 14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조3000억원에 비해 약 3.3배 증가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05조3000억원으로 올 1~5월에만 5조8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1~5월에는 총 7000억원 감소했으나 올해 증가세로 다시 전환한 것이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기타 대출 역시 같은 기간 4조9000억원에서 8조3000억원으로 증가세를 키워 5월 말 현재 157조5000억원의 잔액을 기록하고 있다.

증가세가 가장 뚜렷한 곳은 상호금융이다. 상호금융의 올 1~5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6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1000억원에 비해 6배 이상 증가했다.

상호금융은 2014년 8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80%에서 70%로 낮아지자 아파트 담보대출 경쟁력이 낮아져 빌라와 다세대주택 등 일반주택으로 영업을 강화했다. 이로 인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해 3분기 6조원에서 4분기 7조3000억원으로 늘었다. 올 1분기의 경우 4조9000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예년 1분기에 비해서는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처럼 2금융권 가계부채가 급증한 데는 지난 2월부터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시행에 따라 은행권 대출 심사가 엄격해져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들어서도 가계부채 증가세가 은행의 집단대출뿐 아니라 비은행 대출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증가세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에 필요시에는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은행과 보험업권에 이어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상호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비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증가 추이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