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위에서 요격’ SM-3 도입 초읽기…이지스 전투체계 계약 체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8-17 17: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록히드마틴, 우리 해군과 이지스 전투체계 ‘BL 9’ 계약 발표

  • 이지스함 발사 SM-3 미사일, BL 9에서 운용…배치되면 500㎞ 이상 고도에서 北미사일 요격 가능

아주경제 박준형 기자 = 이지스 구축함의 최신형 통합 전투체계인 ‘베이스라인(Baseline·BL) 9’이 우리 해군 차세대 이지스함에 탑재된다. 이지스함에서 발사하는 초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SM-3 탄도탄 요격미사일의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최대 군수업체인 록히드마틴은 17일 한국 해군의 세종대왕급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KDX III 배치 2) 3척, 일본 해상자위대의 아타고급 구축함 2척, 미 해군의 신형 구축함 1척 등 모두 6척에 BL 9을 장착하는 4억9000만달러(약 5359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록히드마틴은 “BL 9이 탄도미사일을 추적, 요격하면서 동시에 항공기 등을 상대로 한 대공 전투를 수행할 수 있다”며 “이지스함의 통합 대공·미사일 방어(IAMD) 능력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지스 전투체계는 탄도미사일 방어를 수행할 수 있는 통합된 함정 대공 방어망이다. 레이더(SPY-1D)를 통한 표적 탐지 및 추적, 표적 결정 및 무장 할당, 미사일 교전 계획 수립 및 수직발사체계에서 미사일 발사, 미사일 발사 후 유도시스템 가동, 교전 평가 등 순으로 진행된다.

우리 해군이 현재 운용 중인 세종대왕함과 율곡이이함, 서해류성룡함 등 3척의 이지스함에는 BL 7.1이 적용돼있다. BL 7.1은 미사일을 추적할 수 있지만 탄도미사일 요격과 대공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이 없는 SM-2 미사일만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대 중반 이후 도입하는 차세대 이지스함에는 BL 9이 탑재되면서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추적, 요격하면서 동시에 대공전을 수행할 수 있는 첨단 전투체계를 갖추게 됐다.

무엇보다도 BL 9에서는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SM-3의 가동이 가능하다. 군 안팎에서 BL 9 탑재 이후 SM-3까지 도입될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앞서 우리 해군이 지난 5월 차세대 이지스함에 모든 SM 계열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수직발사체계를 장착한다고 발표한 것도 SM-3 도입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이유다.

군 관계자는 “SM-3는 한 발에 150억원이라는 비용이 문제이긴 하지만 배치만 된다면 종말 단계에서 북한 미사일을 잡는 사드나 PAC-3보다 확실한 방어체계”라며 “실질적인 다층방어체계 구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SM-3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보다 높은 곳에서 적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초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다. 요격 고도는 최대 500㎞이며, 최근 미국과 일본이 공동 개발에 성공한 SM-3 블록 2A는 1200㎞까지 늘어났다.

사드와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의 패트리엇 PAC-3 미사일의 최대 요격 고도는 각각 150㎞와 40㎞로 모두 적 미사일을 종말 단계에서 요격하는 방식이지만 SM-3는 상승 단계에서 요격이 가능하다.

특히 북한의 미사일 고각(高角) 발사 이후 경북 성주에 배치되는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SM-3가 우리 군에 실전 배치되면 초고고도(SM-3)-고고도(사드)-하층(패트리엇) 등 총 3겹의 다층방어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바다 위 이지스함에서 발사되기 때문에 땅 위에서 발사되는 사드에 비해 이동이 용이하다. 이 때문에 북한이 목표지점을 정해놓고 타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우리 군 당국은 SM-3 도입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사드에 이어 SM-3까지 도입할 경우 미국 미사일방어(MD)체계 편입 논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BL 9이 있어야 SM-3 발사가 가능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현재로선 SM-3 도입에 대해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차세대 이지스함이 배치되기까지 아직 시간이 남아 있어 SM-3 도입 여부를 검토할 시간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사진=미국 레이시온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