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AP연합]
아주경제 윤세미 기자 =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가 힘에 기반한 외교 및 국방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군사력을 늘리고 신규 군함과 전투기를 들이는 등 국방력 강화를 통해 분쟁을 방지하겠다고 말했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는 현지시간 7일 필라델피아 연설에서 미국 군대가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군력 증진을 위한 정부 지출 제한을 폐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군인을 현재 50만 명에서 54만 명까지 증원하고 전투기와 함정은 각각 1,200대, 350척까지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해군 순양함에도 현대화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공약했다. 이어 정부 낭비를 줄이고 미납 세금을 거두고 공무원 인력을 줄여서 국방 예산 증대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대통령 당선 후 30일 안에 미국 장성들에게 이슬람 무장단체 IS를 몰락시킬 계획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국무장관으로서 힐러리 클린턴의 정책 때문에 중동이 그 어느 때보다 어지러워졌다. 아예 아무것도 안 했다면 더 나았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 같은 연설을 통해 그는 힘을 통화 평화라는 비전을 그렸다.
BBC 등 외신들은 트럼프가 안보 부문을 다룰 때 로널드 레이건과 비슷한 주장을 펼치면서 미래를 과거로 되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힘을 통한 평화는 로널드 레이건이 국방 예산을 늘려야 하는 이유를 설명할 때 주창했던 것이다.
다만 이 같은 공약 대부분은 보수주의 기득권층이 옹호하는 것으로 레이건은 군방이나 안보에 관한 공약을 통해 유권자에 호소해 대선에 승리할 수 있었다. 트럼프도 같은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는 “나는 미국의 핵심적인 국가 이익을 증진하고 지역 안정을 도모하고 세계 갈등을 경감하는 데 중점을 맞춰 새로운 외교 정책을 제시할 것”이라며 “캠프 정책 고문들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나토 동맹국에는 GDP의 2%를 방위비로 내는 의무를 다하라고 촉구했다. 그리고 한국, 독일, 일본, 사우디아라비아에는 미군 주둔 비용을 더 부담시키겠다는 기존의 공약을 다시 거듭 반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