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구조조정 보고서에 불만쌓인 철강업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03 16: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양성모(산업부 기자)]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대안 제시없이 설비만 줄이라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내놓은 철강 구조조정 최종 보고서에 대한 철강업계 관계자들의 일관적인 반응이다.

최근 BCG는 조선업계의 불황으로 수주가 급감함에 따라 후판(두꺼운 철판)을 비롯해 강관(파이프)에 대한 설비감축안을 담은 최종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산업부는 이를 바탕으로 철강업체들의 자발적인 구조조정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철강업계는 이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한 언론을 통해 보도된 BCG의 중간보고서는 연간 후판 생산능력을 400만~500만t 가량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한 것이 골자다. 현재 철강업계는 이번 최종보고서의 내용이 앞서 공개된 중간보고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업계의 반발은 대규모 장치산업인 철강산업에 대한 이해 없이 막무가내식 설비 축소만이 담겨 있다는 것이 이유다. 최근 국내 철강업체들은 철근 및 후판설비에 대한 자발적인 설비축소를 통해 구조조정을 진행중이다.

또한 이번 구조조정안은 연간 250만t에 달하는 중국산 후판 대신 국산 제품을 사용토록 하는 장려 정책도 빠져 있다는 점도 문제점 중 하나다. 자국 발주량이 많은 일본 조선업계는 자국 기자재업체에 95%이상을 발주하면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철판 역시 일본산이 대부분이다. 반면 국내 일부 조선업체들은 최근 불경기에 접어들자 이익 극대화를 위해 중국산 후판 사용을 늘리고 있다.

한국철강협회는 지난 5월 철강업계의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위해 BCG에 연구 용역을 맡겼다. 컨설팅 비용은 10억원, 이 비용은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세아제강 등 5개사가 분담했다. 이들 철강업체들이 부담한 비용은 배워야 할 것은 배우자는 교육비 성격이 강하다. 

무작정 없애고 보자는 식의 산업 경쟁력 재고안은 다시 수정될 필요가 있어보인다.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말 보다 철강산업에 대한 정부의 깊은 관심과 공부가 병행돼야 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