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유엔 주쟈 미국 대사 방한…정부 당국자와 대북제재 방안 모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05 16: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8일부터 11일까지 일정으로 북한의 대북제재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  뉴욕의 유엔 본부를 주무대로 활동하는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방한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외교 소식통은 5일 파워 대사가 우리 정부 당국자들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제재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파워 대사는 방한 기간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포함한 외교 라인의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 제재결의 내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파워 대사의 방한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내용에 대한 미중간의 물밑 조율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도 높은 제재안을 도출하기 위한 모색 과정으로 보인다.

미국의 유엔 주재 대사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멤버로, 미국 국내적으로는 각료급에 준한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 논의가 예상보다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중국에 이어 러시아까지 결의안 도출에 합의할지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거부권'을 가진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주로 미·중간에 진행되고 있는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논의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10월의 안보리 순회 의장국으로서 대북 제재 논의에서 영향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이날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 1월의 4차 북핵실험 당시 미국과 중국이 시종 제재 결의 논의를 주도한 데 이의를 제기하면서 이번 5차 북핵실험에 대해서는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8일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모스크바를 방문해 러시아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고르 마르굴로프 외무부 아태담당 차관과 만난 것도 러시아의 적극적인 개입 의사를 중국이 수용한데 따른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마르굴로프 차관이 김홍균 한국 6자회담 수석대표와 만나기 전날 중국 측과 협의를 진행한 것이다.

이는 미국과 중국 주도로 제재 결의안 초안이 나온 뒤 논의에 본격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전 단계부터 러시아가 적극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가는 민생용 대북 교역까지 제한하는 한미 주도의 강도높은 제재 구상을 희석하는데 중국 뿐 아니라 러시아까지 가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거부권에 더해 10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발언권까지 더해지면서 러시아 변수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미국과 러시아가 최근 시리아 문제를 놓고 격렬하게 갈등을 빚고 있어서 러시아가 호락호락 하게 나오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따라서 유엔에서 한창 안보리 결의 논의를 주도해야 할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한국을 찾는 것은 이런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