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소식통은 5일 파워 대사가 우리 정부 당국자들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제재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에 따르면 파워 대사는 방한 기간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포함한 외교 라인의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 제재결의 내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파워 대사의 방한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내용에 대한 미중간의 물밑 조율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도 높은 제재안을 도출하기 위한 모색 과정으로 보인다.
미국의 유엔 주재 대사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멤버로, 미국 국내적으로는 각료급에 준한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거부권'을 가진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주로 미·중간에 진행되고 있는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논의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개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10월의 안보리 순회 의장국으로서 대북 제재 논의에서 영향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이날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 1월의 4차 북핵실험 당시 미국과 중국이 시종 제재 결의 논의를 주도한 데 이의를 제기하면서 이번 5차 북핵실험에 대해서는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28일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모스크바를 방문해 러시아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이고르 마르굴로프 외무부 아태담당 차관과 만난 것도 러시아의 적극적인 개입 의사를 중국이 수용한데 따른 것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마르굴로프 차관이 김홍균 한국 6자회담 수석대표와 만나기 전날 중국 측과 협의를 진행한 것이다.
이는 미국과 중국 주도로 제재 결의안 초안이 나온 뒤 논의에 본격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전 단계부터 러시아가 적극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가는 민생용 대북 교역까지 제한하는 한미 주도의 강도높은 제재 구상을 희석하는데 중국 뿐 아니라 러시아까지 가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거부권에 더해 10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발언권까지 더해지면서 러시아 변수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미국과 러시아가 최근 시리아 문제를 놓고 격렬하게 갈등을 빚고 있어서 러시아가 호락호락 하게 나오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따라서 유엔에서 한창 안보리 결의 논의를 주도해야 할 서맨사 파워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한국을 찾는 것은 이런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