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상주시 제공]
벼를 너무 일찍 수확하면 청미나 덜 여문쌀이 많아 밥맛이 떨어지고, 너무 늦게 수확하면 싸라기와 색택불량미가 늘어나 쌀 품질이 떨어지고 수발아 등과 야생동물의 피해도 늘어난다.
알맞은 벼베기 때는 중만생종인 일품벼 같은 경우는 출수후 58일경(10월중순)이 적당하고 이슬이 마른 후에 수확해 벼 알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다.
수확한 즉시 알맞은 온도에서 말려 저장하며 고온에서 말리면 싸라기가 많고 밥맛이 떨어진다.
특히 금간쌀이나 싸라기는 고온에 의해 단백질이 응고되고 전분이 노화돼 밥을 지었을 때 끈기가 없고 밥맛이 떨어진다.
농업기술센터 식량작물담당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잘 여문 벼를 재때 수확하고 잘 말려 최고품질의 상주쌀이 돼 소비자에게 밥맛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