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환경부]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현대차 노조 파업으로 정부가 목표로 한 친환경차 1만대 달성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친환경차는 9월까지 목표대비 50% 수준인 5000대에 머물고 있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1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현대차가 파업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보급률도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올해 친환경차 보급 목표가 8000대였는데 추경으로 2000대가 늘었다. 9월 실적 체크해보니 5000대다. 이제 3달 남았는데 50%가 남았다. 잘못하면 집행이 어려울 수 있다”며 “예산 불용을 남기면 추경 취지가 훼손되기 때문에 종합점검 했다. 여러 가지 요인이 있는데 공급 쪽 애로요인이 있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이 말한 공급 쪽 애로요인은 현대차를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전기차의 경우 지난 6월부터 수요가 부쩍 늘었는데 현대차의 아이오닉 출시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그런데 노사파업으로 한달에 1000대 정도 생산하던 차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나마 생산한 것은 해외로 보내고 내수는 200대 정도만 공급된 상태다. 소비자가 전기차를 구매하려 해도 물량이 없는 셈이다. 현대차가 전기차 판매 전략을 국내보다 해외에 비중을 많이 둔 점도 국내 보급률이 떨어진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조 장관은 “현대차에서 국내 수요는 천천히 메워도 된다고 생각한 것 같다. 그런 와중에 노사협상이 결렬되면서 지난 토요일까지 파업이 이어졌다”며 “구내 수요가 충분하다고 판단해 1만대 물량을 잡아놨는데, 현대차에서 그 물량을 못 맞춰주면 소비자나 정부 당국은 어디서 전기차를 구할 수 있겠는가”라고 토로했다.
현재 국내에 출시된 전기차는 모두 7개 모델이 있다. 이 가운데 6개 모델은 한번 주행으로 130km 정도를 달릴 수 있다. 이에 반해 아이오닉은 200km까지 가능하다. 전기차 시장은 아이오닉 출시로 빠르게 수요층이 늘어나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그러나 현대차 파업이 잘 나가던 전기차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 16일부터 아이오닉 생산라인이 풀가동 되고 있지만 정부 목표치를 맞추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현대차는 환경부에 최소한의 물량만 해외로 보내고 나머지는 내수에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환경부는 자동차 제조사가 전기차를 포함해 친환경차 의무 판매제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 해외 제조사가 차량을 판매할 경우 전기차를 일정량 공급해야하는 의무 조항을 내걸고 있기 때문이다. 검토 대상은 국내에 출시되는 모든 친환경차다.
미국의 경우 전체 판매차량 가운데 2%를 무공해차로 공급해야 하는 친환경차 의무판매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과징금을 물린다. 현대차가 국내보다 해외에 물량을 집중하는 배경이다.
조 장관은 “우리도 전기차 보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각하게 친환경차 의무판매제를 생각해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외국회사도 우리나라에 친환경차를 보낼 수 있으니 종합 검토를 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생산량 일정 부분을 해외로 보내야한다면 균형적인 시각을 가져야하지 않겠느냐”며 “올해 생산량은 해당사항이 없고, 내년 이후 해외공급 문제인데 외국회사도 우리나라에 친환경차를 보낼 수 있으니 종합검토를 해봐야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