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협정 발효에 뜨는 수혜주는

아주경제 김은경 기자=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도상국도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하는 기후변화협약(파리협정)이 발효되면서 수혜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재생에너지가 온실가스를 줄이는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관련기업이 유망주로 꼽힌다.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새롭게 적용될 파리협정이 4일 발효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떠오를 전망이다.

파리협정은 지난 1997년 채택한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것으로, 선진국을 포함해 개도국 등 195개 협약 당사국 모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구의 대기온도 상승폭을 2도 이하, 1.5도 아래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당사국들의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90% 이상을 차지한다.

우리나라는 협정 발효 전날 국회 본회의에서 파리협정 비준 동의안을 통과시켰다. 앞서 정부는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로 확정했다.

온실가스를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것이지만, 신재생에너지 공급과 이용을 확대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부도 지난 7월 '에너지 신산업 성과 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을 내놓고 오는 2020년까지 에너지 신산업에 총 42조원을 투자해 신재생에너지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파리협약 발효를 계기로 저탄소 관련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증권가에서도 관련 수혜주 찾기에 분주하다.

한슬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파리 기후 협약이 발효되면서 저탄소 관련 산업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주식시장에서도 단기적인 이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이슈"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가 석탄화력발전소 6기에 해당하는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를 추가로 설치하기로 하면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업체에 기회가 될 전망이다. 공급과잉으로 하락세를 보이던 태양광 산업 기초소재인 폴리실리콘, 웨이퍼 가격도 반등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지능형전력망 스마트그리드 등도 관심을 받고 있다.

한슬기 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7.6%에 불과했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2029년 21.9%까지 확대될 전망"이라며 "풍력과 태양광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 성장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상구 키움증권 연구원도 "파리협약 발효로 한국전력, 한전기술 등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며 "주의를 기울일 시점"이라고 전했다.

종목별로는 동국S&C, LG화학, 한국전력, 한전기술, 태웅, 신성솔라에너지, 한화케미칼, OCI 등이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힌다. 이들 기업은 주가도 하반기 들어 대부분 오름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