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벌통딱정벌레는 지난 9월 23일 밀양에서 국내 최초로 발생보고 된 외래해충으로 주로 미국, 호주, 영국, 콜롬비아 등 남아메리카와 유럽일대에 확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필리핀에서도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작은벌통딱정벌레 성충[1]
감염 시 주로 유충이 벌집을 갉아먹는 섭식활동으로 인해 피해가 나타나며, 배설물에 의해 꿀의 변색과 발효가 나타나 상품가치가 손상되며 중증 감염 시, 여왕벌이 벌통을 버리고 이탈하여 벌통이 비어버리는 등 양봉에 심한 손실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이에 대한 방역대책으로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지난 10월 13일부터 2주간 300봉군 이상 사육 봉장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여 작은벌통딱정벌레 성충이나 애벌레 발견 유무와 벌집의 이상 유무를 내검하거나 전화예찰을 통해 확인했으며, 그 결과 해당 감염증이 나타나는 봉군은 없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유충에 의한 피해 벌집[1]
앞으로도 봉장에서 작은벌통딱정벌레 성충이나 애벌레 뿐 아니라, 벌집에 끈적하고 투명한 점액물질이 발견되거나 꿀이 부패하여 냄새가 나며 거품이 있는 벌집이 발견되면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이나 검역본부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매년 꿀벌 질병 진단 서비스를 통해 10여종의 꿀벌 질병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고, 질병 예방 약품을 구입하여 배부하는 등 꿀벌 질병예방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